폴리카보네이트 온실

전북 전주 폴리카보네이트

BUYU KOREA 2024. 1. 18. 16:21
320x100

 

 

 

안녕하세요 부유코리아 입니다~!

오늘은 비닐하우스가 아닌 새로운 친구를 데려왔는데요.

바로바로~~폴리카보네이트 입니다 !

 

 

 

 

 

 

" 폴리카보네이트란? "

비스페놀 A가 카보네이트 결합으로 이어져서 만들어진 열가소성 플라스틱 입니다.

높은 강도와 내열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데요.

우수한 강도, 내열성, 내충격성, 투명도는 광학 소재, 가전제품, 건축 소재로써 다양한 분야에 널리 쓰입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역사를 알아보겠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1898년 독일의 과학자 알프레트 아인혼에 의해 처음 합성이 보고 되었습니다.

1953년 독일 베이어사의 헤르만 슈넬과 미국 제너를 일렉트릭사의 다니엘 폭스가

상업적인 목적을 가지고 개발에 성공 합니다.

 

 

 

 

 

 

1955년 두 회사는 동시에 미국 특허를 신청 하였습니다.

특허 심사 기간 동안 양사는 어느 쪽에서 특허권을 취득하여도 상대방이 일정 사용료를 지급하고

특허의 사용을 허가하는 협정을 맺습니다. 최종 결과는 베이어사의 슈넬이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폭스보다 1주일 먼저 개발한 것으로 결정되어

베이어사가 원천 특허를 획득하였으며, 제너럴 일겍트릭사는 사용료는 지급하고 상업화 합니다.

베이어사는 1958년 메를론 이라는 제품명으로 제너럴 일렉트릭사는 렉산으로부터

1960년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1980년대 베이어사는 제품명을 마클론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현재 다수의 기업이 폴리카보네이트를 생산하고 있으며 매년 600만 톤을 생산하여 소비합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내구성이 강합니다.

투명 플라스틱 소재로써 많이 쓰이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에 대비하여 강하고 내열성이 우수합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가벼우면서 단단한 성질, 그리고 전기 절연도, 내열성, 난연성을 가진 소재입니다.

TV, 모니터, 휴대전화 외장 등의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폴리카보네이트와 ABS 혼합 수지가 대형 가전 중심으로 사용됩니다.

휴대전화의 배터리 커버 소재가 대표적인 폴리카보네이트의 사용처 입니다.

건축 재료

투명하며 단단한 성질은 건축 외장, 지붕, 방음벽 소재로서 널리 활용됩니다.

다중 격벽 구조 또는 단일 시트 형태로서 사용합니다.

외장에 사용하는 경우 자외선에 대한 분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자외선 안정제를 투입하여 가공합니다.

기본 수지의 투명성은 다양한 색상의 구현에 유리 합니다.

미디어 재료

CD, DVD로 대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의 제조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합니다.

투명하면서 얇은 두께에서도 우수한 강도, 그리고 높은 내열성은 일상 및 가혹 조건에서

데이터 및 미디어 보관용 제품의 재료로서 적합합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제조법은 크게 두가지로 구분하는데요.

포스젠 법과 용융법이 있습니다.

계면법 (포스젠 법)

초기 폴리카보네이트는 비스페놀-A 와 포스젠의 반응으로 양산하였으며,

현재에도 대부분의 폴리카보네이트는

포스젠 법으로 생산합니다.수용액 상의 비스페놀-A 소듐염이 다이클로로메테인 층에

녹아 있는 포스젠과 계면에서 반응하여

폴리카보네이트가 생성됩니다. 용융법과 비교를 위하여 계면법이라고 부릅니다.

포스젠의 높은 생산성과 반응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었지만,

독성이 매우 강한 포스젠의 사용에 따른 안전 및 관련 사고 문제 때문에

현재는 더 이상의 설비 확장 및 신규 포스젠법 양산 시설의 건설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를 대체하는 용융법으로 전환 과정에 있습니다.

 

 

 

 

 

용융법

제너럴 일렉트릭사의 폭스가 처음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한 공법이 용융법입니다.

다이페닐카보네이트와 비스페놀-A 사이의 에스터 교환 반응을 통하여 제조하였습니다.

첫 개발 당이 다이페닐카보네이트의 제조 역시 포스젠을 사용하였습니다.

하지만 1990년대 일본의 아사이화성사에서 비포스젠법 DPC 제도 공정의 수립과 함께 용융법을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양산에 성공하였습니다. 폐기물이 적으며 유독한 포스젠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반응 원료로써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친환경 폴리카보네이트 공법입니다.

현재 동아시아 (한국,대만)를 중심으로 양산하고 있으며,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대형 공장을 건설, 운영 중입니다.

신규 설비의 경우 대부분 친환경 용융법을 기반으로 합니다.

 

자동차, 철도 , 항공기 소재

자동차, 항공기 등의 중량을 가볍게 하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하는 목적으로

밀도가 높은 금속 및 유리 소재를 플라스틱으로 전환하는

시도는 계속 되어 왔습니다. 높은 강도와 내열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대표인 폴리카보네이트는 이런 요구에 적합한 소재입니다.

자동차 헤드램프 소재로 활용됩니다. 이 경우 스크래치에 대한 보호를 위한 UV 경화 코팅 처리가 요구 됩니다.

유리에 대비하여도 단단한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어서,

전투기 F-22 랩터의 조종설 캐노피가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조되었으며,

고속 열차의 창문 소재로도 일부 사용 됩니다.

 

 

 

 

 

 

방탄, 안전 소재

실험실 및 건설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보안경 렌즈 소재로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합니다.

또한, 경찰의 시위 진압 보호 방패 소재, 은행의 창구 방탄 소재로 유리를 대체하여 사용합니다.

오토바이 및 운동용 보호 헬멧 제조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가 사용 됩니다.

ABS 소재가 일반적이지만 더 고강도를 요구하는 용도에는 폴리카보네이트를 사용합니다.

보관, 저장 용품

폴리카보네이트는 그 투명성, 내구성, 착색성 때문에 다양한 음식 및 음료 보관 용기로서 오래 기간 활용되었습니다.

현재 생수 보관 용기로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여행용 가방의 소재로도 단단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

제품이 시판되고 있습니다.

전주 폴리카보네이트가 멋지게 완성된 모습인데요 ㅎㅎ

비닐하우스 외에도 다양하게 작업하고 있으니 구경하시고

고객님들이 원하는 하우스 지으시길 바랄게요.

다음번에는 좀 더 알찬 내용으로 찾아오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320x100